14일 이마트는 올해 1분기 이마트 지수가 100 이하로 떨어진 98.7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 한 해 4분기 연속으로 기준점인 100을 웃돌던 소비심리가 글로벌 경기침체이후 처음으로 하락세를 보인 것이다.
이마트 지수는 신세계 유통산업연구소가 전국 이마트 50여개 표준 점포에서 판매하는 476개 제품의 매출량을 분석해 발표하는 실질 소비량 지수다. 기준점인 100을 밑돌면 전년 동기 대비 소비가 악화됐음을 의미한다.
세부적으로는 의생활지수가 99.8, 식탁물가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식생활지수는 99.1, 주생활지수는 99.8, 경기의 영향을 가장 민감하게 반영하는 문화생활지수는 95.3을 나타냈다.
특히 식생활 지수는 추운 겨울로 인해 국내산 과일의 소비는 100선에 크게 미치지 못한 반면 수입과일의 판매는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또 구제역과 AI로 인해 육류와 가금류의 소비가 줄어든 반면 수산물의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전반적인 소비심리 하락에도 건강기능 식품과 같은 가치 소비는 계속됐다.
이마트 관계자는 “소비심리가 위축돼도 ‘나’와 ‘가족’을 위한 소비는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며 “올해는 물가안정과 소비심리 회복이 성장 여부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