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14일 청와대에서 열린 ‘신성장동력 강화전략 보고대회’를 통해 이런 내용을 포함한 ‘신성장동력 인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보고내용에 따르면 정부는 대학과 20여개 산업별 협의체가 함께 참여하는 ‘신성장동력 인력양성 플랫폼’을 통해 산업계의 수요에 따라 인력이 제때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산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신성장동력 사업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는 취지다.
이 플랫폼은 여러 가지 형태의 협력 채널로 구성돼 있다.
이와 관련 산업별 협의체는 인력 수요를 대학에 전달하고, 대학은 이를 학과 개편 등에 반영하게 된다. 정부는 ‘세계 수준 연구중심대학(WCU)’ 사업 등을 통해 지원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대학 내부에서 신성장동력 분야 산학협동연구, 산업체 기술 지원 등 산학협력 실적에 따라 평가받고 승진할 수 있는 경로도 마련할 계획이다.
기업의 퇴직 임직원 등을 ‘산학협력중점교수’로 채용하는 사례도 지난해 64명에서 올해 220명으로 늘릴 예정이다.
현재 국회 계류 중인 5년제 학·석사 통합과정이 차후 도입되면, 산학 협력을 고려해 현장 실습과 산학 공동 연구개발(R&D) 등도 과정에 포함키로 했다.
현재 석·박사 통합과정은 이미 산업단지 캠퍼스에서 현장밀착형 인재 양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교과부측은 설명했다.
정부는 계약학과 및 산업체 위탁교육제도 활용, 사립대 학과개편 컨설팅 지원, 국립대 특성화 등을 통해 신성장동력 분야를 중심으로 대학이 구조를 바꿀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신성장동력 분야 인력배출 실적도 대학 R&D 지원 사업 평가시 주요 기준으로 삼는다는 복안이다.
마이스터고등학교 지원 확대, 4개 과학기술대학 특성화 및 연계 전략 등도 신성장동력 인력 양성 방안의 하나로 추진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