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도심에 있는 50개 복개하천을 서울 청계천처럼 생태하천으로 바꾸는 사업이 추진된다.
17일 환경부에 따르면 정부는 2015년까지 6대 광역시를 비롯한 전국 도심에 있는 복개하천 50개를 선정, 하천을 덮고 있는 콘크리트를 뜯어내고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려 생태하천으로 만들 계획이다.
'청계천+20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2009년과 지난해 도심 복개하천 10곳씩을 선정, 복원사업을 진행하는데 이어 30곳의 복개 하천을 추가로 복원하는 것이다.
서울 청계천과 같은 생태하천이 전국 50곳에 만들어지는 셈이다.
국내에 있는 복개하천은 모두 165개로 연장이 231㎞에 달한다. 전체 하천의 0.8%를 차지하고 있다.
정부는 복개하천 추가 복원사업을 위해 올해부터 2013년까지 해마다 10곳씩 모두 30곳의 사업 대상하천을 선정할 계획이다.
또한 2009년과 지난해 선정된 20곳은 2015년까지 복원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 가운데 대구 범어천과 강원도 춘천 범어천은 올해 안에 완공된다.
올해부터 2013년까지 선정될 30곳은 2017년까지 공사를 마무리한다는 목표를 잡고 있다.
이같은 계획은 정부가 4대강 사업에 이어 추진하고 있는 '지류ㆍ지천 살리기 종합계획'에도 포함돼 있다.
복개하천이 복원사업 대상지로 선정되면 광역시의 경우는 전체 사업비의 50%를, 그 밖의 다른 도시는 70%를 각각 국비로 지원해 준다.
환경부 관계자는 "복개하천의 경우는 생태계 훼손은 물론 수질 악화, 악취 발생 등으로 하천이 제기능을 상실한 경우가 많다"면서 "이번 사업이 주로 구도심 복개하천을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부는 복개하천을 생태하천으로 만드는 사업을 '청계천 프로젝트'로 명명했다가 최근에는 '도심 복개하천 복원사업'으로 바꿔 부르고 있다. 하천 정비사업이 정치적으로 해석되는 것을 막기위한 것이라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