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청라지구~서울 합정역·신촌·서울역 광역버스 노선 과연 신설될까?

  • 인천 청라지구~서울 합정역·신촌·서울역 광역버스 노선 과연 신설될까?

(아주경제 이준혁 기자) 과소한 수의 버스노선, 시골버스 수준의 배차간격, 다양하지 못한 행선지 등으로 인해 대중교통 일상 이용에 불편한 점이 많기로 악명높던 인천 청라지구에 서울 도심방향 버스 노선을 올해 상반기 중에 신설하는 안이 검토되고 있다. 신설이 최종 확정될 경우 차량은 5대가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 버스정책과에 따르면 시는 장기적으로 기존 1000번 노선을 분할 조치해 새롭게 1001번(가칭)이란 버스노선 신설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001번은 1000번처럼 삼화고속 석남동 차고지에서 출발해 운행하나 청라지구를 경유한다. 1000번의 마지막 정류장인 '서인천(가정5거리)'에 정차한 이후로는 1000번과 동일한 경로를 운행하는 형태로 노선의 운행 경로를 계획 중이다.

다만 '1001번'의 경우 노선신설을 한다 하더라도 초기 인가차량은 5대다. 이는 1001번이 기존 1000번을 분할 신설하는 경우이기 때문이다. 1001번이 생길 경우 1000번은 15대에서 10대로 감소되며, 1001번은 5대로 인가된다.

차량의 증차는 서울시와의 협의가 어려워 쉽지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는 인천시와 경기도에서 서울시로 진입하는 버스노선의 증차와 신설에 대한 경기도와 인천시의 동의 요청을 대부분 부동의처리 통보하는 상황이다.

인천시와 삼화고속은 1001번을 신설할 경우 출퇴근 시각마다 예비차량을 투입해서 배차간격이 길어지지 않도록 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용객저조를 이유로 최근 폐선된 광역버스노선 2100번과 2400번에 운행됐던 10대 중 5대가 현 1000번의 예비차로 운행 중이며 1001번의 신설이 확정될 경우 예비차도 분산해 배치할 예정이다. (주 : 총 10대 중 5대는 1100·1400 노선 분산 투입 완료)

인천시 관계자는 "청라지구는 아직 입주자가 적고 유동인구도 드물어 준공영제 비시행 대상인 광역버스 노선의 신설은 쉽지 않다"며 "하지만 장기적인 '투자'라는 측면에서 신설을 검토하는 상황이다. 다만 서울시와 증차 협의가 어렵고 다른 노선에서 차를 뺏어올 수도 없어 증차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