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 `취객 집데려다 달라‘, `단순 타박상 구급’ 요청 거절한다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 119구조대가 긴급상황 출동을 대비키 위해 잠긴 문을 열어달라거나 술에 취해 집에 데려다 달라는 요청을 9월9일부터 거절하게 된다.
 
 소방방재청은 위급하지 않은 구조·구급 요청을 거절할 수 있는 내용을 담은 ‘119 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을 17일 입법예고 했다.
 
 이에 따라 긴급한 상황이 아닐시 119구조대를 부르면 전화를 받았을 때나 현장에 출동했을때, 요청을 거절한 뒤 확인서를 주게 된다.
 
 잠긴 집 문을 열어달라거나 취객이 집에 태워다 달라는 경우, 타박상이나 열상, 찰과상 환자 중에 응급환자가 아닌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특히 술에 취해 119를 부르는 사례가 지난해 전체 119구조대 환자 이송건수 148만1379건 중 1만7692건(1.2%)이나 됐다”며 “이 중 일부는 위중했겠지만 대부분은 단순한 음주자”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치통, 감기나 만성질환자들이 정기적인 외래 방문을 위해 병원에 가고 싶은 경우 △일반적인 장애물을 치워달라는 경우 △절도 등 단순 범죄사건인데 경찰이 아닌 119를 부르는 경우 등을 거절할 수 있게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