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北에 김정일 핵안보회의 초청 제안 설명”

  • “‘진의’ 전달한 만큼 북측 반응 지켜봐야”

(아주경제 장용석 기자) 정부가 ‘핵 포기를 전제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을 내년 3월 서울에서 열리는 제2차 핵 안보 정상회의에 초청하겠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제안과 관련해 배경 등을 북한 측에 직접 설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18일 정례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 초청과 관련한 우리 뜻을 북한에 전달했다”며 “앞으로 기회가 있을 때 구체적인 논의가 있길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관련 기사 4면>
 
 그러나 김 대변인은 북측에 이 대통령의 제안을 설명한 시기와 경로 등에 대해선 “구체적인 건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사람과 사람이 만났다”며 대면 접촉이 이뤄졌음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정부 소식통은 “지난 주말 또는 이번 주초쯤 중국 등지에서 당국 간에 비공식 접촉이 있었던 것 같다”고 전했다.
 
 그러나 북측은 이 대통령의 제안에 관한 우리 측 설명에 대해 아직 별다른 입장을 전해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이 대통령의 제안과 관련해 지난 12일 “우리를 무장 해제시키고 미국과 함께 북침야망을 실현해보려는 가소로운 망동”이라며 비난한 바 있다.
 
 그러나 우리 측은 ‘북한의 대남 기구인 조평통 대변인의 문답은 북측의 공식 의견으로 보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당시 덴마크를 국빈 방문 중이던 이 대통령이 “(북한의) 어떤 반응도 그대로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 부정적으로 나왔다고 해서 부정적인 게 아니다”고 말한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도 조평통 대변인 문답과 관련해 “우리 제안 내용을 북측이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는 것 같다”며 “제안 배경 등에 대해 북측과 의견을 나눌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었다.
 
 회의까지 아직 10개월가량의 시간이 남아있기 때문에 여유를 갖고 계속 협의해 나가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김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일단 우리가 ‘진의’를 전했기 때문에 공식적인 반응이 오는 건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