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주도의회 의원회관에서 20일 한국공항 지하수 증산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위원장 김태석)는 20일 제주도의원회관에서 ‘한국공항(주) 먹는 샘물용 지하수 증산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찬성 측 4명, 반대 측 4명이 참가하는 ‘맞장토론’으로 진행됐다. 그러나 우근민 제주지사와 한국공항과의 모종의 사전 합의설 제기, 대형사우나 1일 사용량에 불과 주장 등 찬반 양측이 팽팽하게 맞서며 결론을 내지 못했다.
지하수 증산 반대 측 인사로 나선 제주환경운동연합 김동주 대안사회팀장은 “지금에서야 지하수 증산을 요청한 것은 의문”이라며 “(제주지사)허가권자가 바꿨기 때문이라는 생각인 든다”고 의혹도 제기했다.
김 팀장은 이어 “우근민 지사와 한국공항간의 사전합의가 되지 않았다면 3배 증산은 어렵다”며 “모종의 사전 합의가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고 주장했다.
제주경실련 한영조 사무처장은 “제주지하수가 사기업의 돈벌이 탐욕시장으로 될 우려가 있다”며 “도민사회 갈등을 만들어내고 혼란으로 몰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제주참여환경연대 홍영철 사무처장은 “한국공항이 지하수 많이 퍼내는 것은 지하수 고갈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서 “그러나 일반 사기업이 생수시장에 진출하게 되면 다른 기업들과의 형평성 문제와 함께 대규모로 생수시장에 진출하게 하는 빌미를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찬성 측 인사로 나선 한국공항 임종도 상무이사는 “지하수 증산을 요청한 하루 300t은 제주시내 대형사우나 하루 사용량”이라며 “(요새는)지하수 고갈 우려도 상당히 감소됐다”고 말했다.
임 상무는 또 “지난해 여름 성수기엔 물량이 부족해 기내 공급도 한계에 이르렀다”며 “오해가 있지만 제주지하수를 가치 있게 만든다고 인정해 달라”고 요청했다.
명지대 김종만 교수는 “사기업이 이익을 많이 창출하는 게 제주도 입장에서 도움이 되는 것 아니냐”며 반문한 뒤 “민간기업이 이익창출은 안된다고 하면 국제자유도시란 말을 해선 안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또 “한국공항이 고객층이 겹치지 않게 생수를 판다면 제주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같은 시장에 있는 ‘제로섬 게임’이 아니라 서로가 윈-원해서 파이를 키우는 것”이라고 했다.
제주도청 수자원본부 고기원 부장은 “앞으로는 어떤 사기업이라도 제주지하수로 먹는 샘물 사업을 하지 못한다”며 “공수화 관리체계 무너진다는 주장은 논리의 비약”이라고 말했다.
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는 지난 달 제주도가 제출한 한국공항(주)의 지하수 증산 요청을 담은 ‘지하수개발·이용 변경 허가 동의안’을 상정보류했다. 지하수 취수량을 월 3000t에서 9000t으로 늘려 달라는 동의안이다. 당시 도의회는 지하수 고갈 문제, 지하수 사유화 등 도민사회 논란 등을 상정보류 이유로 들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