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담배값 200원 올렸더니 판매 28.1% 급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5-24 13:5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가격 동결한 업체들 판매량 증가해 ‘반사이익’

(아주경제 심재진 기자) 담배 가격을 올린 외국 업체들의 판매량이 급감했다. 이에 반해 가격을 동결한 업체들은 판매량이 늘어 ‘반사이익’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9~15일 훼미리마트의 전국 5700여개 점포 판매량을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BAT코리아의 자사담배 판매량은 인상전(192만9041갑)보다 28.1% 감소한 138만7600갑으로 집계됐다.

던힐, 보그 등을 판매하는 BAT코리아는 지난달 28일 자사제품 가격을 갑당 200원 인상한 바 있다.

같은 기간 JTI코리아도 가격 인상전 판매량(87만9062갑)보다 18.6% 감소한 71만60165갑이 팔렸다. 마일드세븐 등 자사제품 가격을 지난 4월 200원 인상한 이후 급격히 판매량이 줄어든 모습이다.

반면 담배가격을 올리지 않은 업체들은 판매량이 오히려 증가하는 ‘반사이익’을 봤다.

KT&G는 타사가 가격을 올리기 이전인 4월 3주차 판매량이 393만470갑이었으나 9~15일에는 432만1385갑으로 9.9% 늘었다.

필립모리스(PM)는 같은 기간 202만8593갑에서 236만8371갑으로 16.7% 증가했다.

훼미리마트 측은 4월 3주차와 5월 2주차 사이 BAT와 JTI의 판매 감소량 총 70만5878갑 가운데 53.5%(39만915갑)이 KT&G제품으로, 46.5%(33만9778갑)가 PM 제품으로 구매가 전환된 것으로 보고 있다.

제품별로는 BAT의 제품 중 던힐·켄트·보그가 각각 28.3%, 28.1%, 24.5% 매출이 감소했으며 JTI의 마일드세븐은 18.8%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KT&G의 다비도프는 매출이 59.8%, 보헴은 31.1%, 디스·디스플러스는 21.1% 늘었으며, PM의 말보로도 매출이 23.3% 신장됐다.

훼미리마트 관계자는 “20~30대 젊은층의 고객 구성비가 60%에 달하는 편의점에서의 매출이라는 점에서 젊은층이 가격을 인상한 외산담배업체에 대한 불만의 표시로 브랜드 전환을 하는 사례가 상당수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담배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가격이 오른 담배에서 이탈해 동결한 담배로 옮겨가는 현상을 브랜드별 판매량 추이에서 뚜렷이 알 수 있다”며 “가격인상업체에 대한 소비자 이탈현상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