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금융권에 따르면 경남은행 등이 참여한 대주단은 지난 2007년 거평프레야 건물을 담보로 차주 배모 씨에게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자금 2880억원을 대출해줬다. 하지만 배씨는 이자도 제때 내지 못하며 지난해 6월부터 대출금을 연체하고 있다.
그 결과 경남은행 등 대주단은 매달 수십억원의 이자부담을 지는 것은 물론, PF자금이 고정이하여신으로 분류돼 대손충당금 부담까지 떠안고 있는 실정이다.
경남은행 등 대주단은 거평프레야를 지난해 12월 공매에 넘겼다. 차주인 배씨가 더 이상 대출금을 갚을 수 없게 돼 궁여책으로 내놓은 것이다.
하지만 공매결정에 대해 임차인들이 거세게 반발하면서 일이 더 꼬였다. 대출금 회수를 위해선 공매가 시급하나 임차인들의 반대로 새 주인을 찾는 일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2600명의 임차인들은 현재 대주단의 요청을 받아 공매를 접수한 경남은행을 상대로 연일 시위를 벌이고 있다.
경남은행 관계자는 "서울과 경남지역의 영업점에서 임차인들이 집단농성을 벌여 업무가 마비될 정도"라며 "은행은 물론 주변 상가로까지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대주단의 수탁사인 경남은행은 임차인의 편을 들어 임의로 공매를 취소할 경우 대주단에 손실을 야기해 손해배상 청구를 당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금융권 관계자는 "공매 낙찰이 되면 은행과 임차인 모두 상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다"며 "적법한 절차에 따라 채권회수를 하는 것인데 이 마저도 어려워 큰 일"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