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朴 회동’ 화두는 민생과 통합.. 국정운영 공감대

(아주경제 장용석 기자) 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 간 3일 단독 회동의 주요 화두는 ‘민생’과 ‘통합’이었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는 이날 약 55분간에 걸쳐 국민 체감경기를 비롯해 고용, 물가, 전셋값, 가계부채,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내수 활성화, 대학등록금, 고등교육, 저소득층 복지 사각지대 등 거의 모든 민생현안을 화제로 의견을 교환했다고 박 전 대표가 전했다.
 
 일각에선 그간 무성했던 기대와 관측과 달리 이날 회동에서 원론적 언급이 주를 이뤘다는 점을 들어 “소문난 잔칫집에 먹을 게 없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이 박 전 대표의 견해에 충분히 공감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진데다, 박 전 대표 또한 시종일관 밝은 표정으로 회동 내용을 언론에 공개했다는 점에서 두 사람 간의 의견 충돌 등 우려했던 상황은 벌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도 회동 뒤 “대통령이 매우 흡족해했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회동에 앞서 열린 오찬에서도 박 전 대표가 네덜란드 화훼박람회 참가를 비롯한 이번 대통령 특사 방문국들의 요청사항과 정부가 챙겨야 할 사안을 보고하자, 즉석에서 관련 내용을 추진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대표는 회동 뒤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에서 간담회를 열어 이 대통령과의 면담 내용을 비교적 소상히 설명했다.
 
 박 전 대표는 이 대통령에게 “지표는 괜찮은데 국민이 체감하지 못하는 게 심각하다”, “등록금 문제도 실제 어려움이 너무 크다”, “국가가 발전해도 구조적으로 (복지) 혜택을 못 받는 국민이 많다” 등의 시중여론을 가감 없이 전달하면서 “국정의 중심을 민생에 둬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이 대통령도 “앞으로 국정의 중심을 서민과 민생, 저소득층에 두겠다”며 박 전 대표가 제기한 각각의 민생 현안에 대해 “계속 관심을 갖고 잘 챙기겠다”고 밝혔다.
 
 특히 이 대통령은 대학 등록금 부담 완화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표시하면서 정부 정책방향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박 전 대표는 당의 향후 진로에 대해 “정치논리보다 민생에 초점을 둬야 하고 분열보다 통합으로 가야 한다”며 “모두가 하나가 돼 민생문제를 해결하고 국민 신뢰를 얻기 위한 노력을 열심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에 대해서도 “꼭 그렇게 힘써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의 ‘아킬레스건’인 친이(친 이명박)·친박(친 박근혜) 등 당내 계파 간 갈등에 관한 얘기는 없었다고 한다.
 
 이에 여권 내에선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는 다음 달 전당대회를 앞두고 있는 한나라당의 차기 당 지도부 구성과 관련해서 모종의 합의를 이룬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임기 말 국정운영을 연착륙시켜야 하는 이 대통령과 당의 최대주주로 ‘1순위’ 차기 주자의 입지를 다져야 하는 박 전 대표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다는 분석이다.
 
 “회동의 내용이나 메시지보다는 회동 자체에 의미가 있다”는 청와대 관계자의 설명도 이를 뒷받침한다.
 
 한편 이날 회동에선 북한의 ‘남북 비밀접촉’ 주장도 화두에 올랐으나, 박 전 대표는 “정부가 설명한다고 하니 들어봐라. 국민에게 솔직하게 설명할 것 같다”며 언급을 피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