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수 금융정보분석원 원장, 부산저축銀 의혹은?

(아주경제 김희준 기자)검찰이 3일 부산저축은행에서 뇌물을 받은 혐의로 김광수 금융정보분석원(FIU) 원장의 구속영장을 청구함에 따라 김 원장과 관련한 의혹 규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검찰은 그가 청와대 행정관으로 있던 2006년과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국장이었던 2008년, 그리고 한나라당 수석전문위원이었던 지난해 부산저축은행과 밀접한 관련을 맺은 것으로 판단하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2006년에는 저축은행의 몸집 불리기를 가능케 한 `8.8클럽‘이 도입됐고, 2008년에는 대전과 전주저축은행을 부산저축은행이 인수했으며, 지난해에는 부산저축은행을 비롯한 업계 전체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의 부실 사태를 맞았다.

특히 검찰은 김 원장이 이러한 고비마다 부산저축은행에 유리한 쪽으로 정책이 만들어지도록 했다는 의심을 품고 있다.

하지만 저축은행 업계에 정통한 전문가들은 우량 저축은행의 대출한도를 완화해주는 8.8클럽 도입의 경우 김 원장이 여기에 관여할 만한 자리에 있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실제로 부산저축은행이 위기에 있던 지난해에 김 원장은 국회의원들의 법률 입안을 조언하는 `한직’인 당 수석전문위원으로 밀려나 있었다.

금융위 금융서비스국장으로 재직한 지난 2008년에는 주요 실무 책임자였던 만큼 대전·전주저축은행을 부산저축은행이 인수할 수 있도록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될 만하다.

그러나 예금보험기금에 2조원 가까운 적자가 발생한 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구조조정 재원은 공적자금이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로 시장이 잔뜩 예민해진 터라 부득이하게 공적자금 대신 부산저축은행과 짝짓는 카드를 선택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와 관련해 김 원장은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이 상황에서 무슨 얘기를 할 수 있겠느냐”며 “조용히 기다리면서 준비하겠다. 법정에서 모든 진실을 밝히겠다”고만 말했다.

한편 김 원장의 구속영장에 대한 법원의 실질심사(구속 전 피의자심문)는 오는 7일 열릴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