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는 8일 전날 전국위의 결정안을 사실상 수용하면서 결국 비대위의 기본안을 뒤집은 ‘1인2표제’와 ‘여론조사 30% 반영’으로 가닥이 잡혀 확정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안형환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오늘 중진회의에서 전국위 의장의 의사진행과 결과에 있어 관행으로 보나 상황으로 보나 하자가 없었다”며 “논란은 있을 수 있으나 결론을 뒤집을 만한 결정적 하자는 없다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이해봉 전국위원장이 266명의 위임장을 여론조사를 반영하는 쪽의 의견으로 간주해 처리한 것에 대해 일부 비대위원들을 비롯한 의원들이 유권해석의 이유를 들어 반발했으나 결국 더 이상 문제제기를 하지 않는 것으로 하루 만에 문제가 봉합된 것.
이에 따라 친이계를 대표하는 당내 ‘구주류’가 중심이 돼 만들어진 비대위의 입지는 더욱 줄어들게 됐다.
결과적으로 전대룰을 1인1표제에 여론조사를 반영하지 않는 비대위의 개정안에 대해 반대 의견을 내 왔던 소장파와 친박계 의원들의 의도대로 전대룰이 결정됐기 때문이다.
친이계인 이윤성 전 국회부의장은 이날 열린 중진회의에서 “(전대룰 개정안이)상임전국위나 전국위에 가면서 뒤집히는 것들은 좀 너무하지 않나 생각한다”며 “이런 정책결정 과정 뒤에는 소장파와 신주류에게 구주류가 졌다는 이야기가 반드시 나온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지금 구쥬류와 신주류가 어디 있는가”라며 “이러다가 망한다는 걸 여러분들은 잘 알고 계실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신주류가 원했던 대로 결정된 전대룰이 다시 바뀔 가능성은 사실상 사라지면서 당내 역할 구도는 소장파와 친박계 쪽으로 쏠리게 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이번에 결정된 개정안이 당내 조직력을 기반 세력으로 한 친이계의 김무성, 원희룡 등의 예비 당권주자보다 상대적으로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홍준표, 나경원 전 최고위원에게 유리해진 것도 향후 친이계의 운신 폭을 좁게 만들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당권과 대권을 분리하는 당헌 당규 역시 그대로 유지되면서 당권을 잡아 박근혜 전 대표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하려 했던 친이계의 유력 대권주자들의 입지도 상대적으로 좁아질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