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벨 차관보는 이날 서울 도렴동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약식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이 밝히고 “중국 당국자들은 최근 북한이 남북 비밀접촉 내용을 폭로하고 판을 깬데 대해 놀라고 있으며 남북대화에 진전이 있기를 바라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고 전했다.
이 같은 언급은 북한의 남북대화 중단 선언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우리 정부의 3단계 접근방안을 계속 지지한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캠벨 차관보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최근 중국을 방문했을 당시 남북 비밀접촉 폭로 계획을 중국에 얘기해주지 않은 것 같더라”면서 “중국과 미국, 한국은 북한 관련 접근법에서 여러 공통된 의견을 갖고 있으며 비록 차이점이 있기는 하지만 모두 남북관계에 진전이 있어야 한다는데 동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일본 당국자들과 만나서도 남북대화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다시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향후 정세운용 방향에 대해 “미국 정부는 한국과 이 문제에 대해 매우 긴밀하게 협의해오고 있다는 점을 자랑스럽게 말하겠다”면서 “우리는 (남북간) 대화가 재개되는 것을 보기 바라며 한국 정부의 노력이 언젠가는 열매를 맺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천안함ㆍ연평도 사건 처리와 관련해 “한국 정부의 품위있는(Dignified) 대응을 매우 존경하고 지지한다”면서 “우리는 전략적 대응기조를 설정하는데 있어 매우 긴밀하다”고 밝혔다.
대북 식량지원 문제에 대해 캠벨 차관보는 “아직도 검토중이며 현재 자료를 보고 있다”면서 “한국 정부와 긴밀하게 협의하고 있으며 어떤 상황에서도 한국 정부와 미리 조율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두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