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와중에 전산사고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한 최원병 농협중앙회장이 재선에 나설 것으로 알려지면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5월 농협 전산사고와 관련해 특별 검사에 착수했던 금감원은 이르면 지난달 내에 제재 범위와 강도를 결정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가시화된 제재 범위는 없으며 여전히 해당 징계 사안에 대해 논의 중인 것으로만 알려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아직까지 정해진 바 없다”며 “현대캐피탈 건도 함께 걸려 있는 상태라 물리적으로 이 달 안에 제재 방침을 정하기에는 무리”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농협 전산사태에 대한 책임을 묻는 임직원 징계 등의 제재 방침은 빨라야 8월에 나올 것으로 보인다.
농협은 사고 당시 이재관 전 전무이사가 총 책임을 지고 사퇴한 것 외에 어떠한 관련자 징계도 내리지 않은 상태다.
이는 전무이사가 지도사업을 담당하는 가운데 경제와 축산 및 신용부문 각 대표들이 소관별 업무를 담당하는 등 농협 내에 업무를 총괄하는 실질적 CEO가 없는 특수한 구조탓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당국의 방침이 내려오기 이전에 자체적으로 직원 징계 등의 제재를 할 경우 결과가 상충될 수 있으므로 당국의 제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금융권에서는 최원병 회장이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한다는 주장이 거세다. 최 회장이 비상근이지만 인사권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다.
전국농협노조는 지난 1일 농협중앙회 건물 앞에서 최 회장 퇴진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노조 관계자는 "수천명의 금융소비자가 피해를 입은 사태가 벌어졌는데 이게 전무이사 한 명 교체되고 끝날 일인가"라며 "인사권을 총괄하는 막강한 권한을 지닌 최 회장이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최 회장은 1만7000명의 임직원에 대한 인사권을 갖고 있으며 연봉은 2억원 가량이다.
더구나 최 회장이 내년 농협중앙회장직 재선에 나설 것으로 알려지면서 금융권 안팎에서 곱지않은 시선들이 쏟아지고 있다.
최 회장은 올해 말이면 4년간의 임기를 마친다. 현재 그는 재출마를 위해 사전 선거운동을 벌이며 친정체제 구축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