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공동개발은 차세대 유망 기술에 대한 반도체 선도 업체간 협력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따.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3위인 도시바는 M램의 기술 및 개발 능력 면에서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이닉스 역시 업계 최고 수준의 메모리 반도체 기술과 원가경쟁력을 갖췄다.
STT-M램은 초고속 및 저전력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전력의 공급 없이도 데이터를 보관하는 비휘발성의 장점과 함께 안정성 등을 두루 갖췄다. 또 기술적 한계로 여겨지는 10나노 이하에서도 집적이 가능하다. 이 제품은 초기에는 저전력 특성을 기반으로 모바일 시장에 진입한 후 중장기적으로는 PC 및 서버 시장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하이닉스 권오철 사장은 "STT-M램은 빠른 동작 속도와 낮은 전력 소비, 높은 신뢰성 등의 기존 메모리의 장점을 두루 갖춰 새로운 모바일 기기 수요 확대와 제품의 고성능이 요구되는 '메모리 신성장 시대'에 최적화된 제품"이라고 전했다.
도시바 반도체 부분 고바야시 사장 역시 "STT-M램은 공정 미세화에 유리해 향후 성공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도시바는 STT-M램·낸드·HDD 등을 포함한 모든 스토리지 솔루션의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하이닉스와의 M램 공동 개발은 이러한 목표 달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공동 개발로 양사는 M램의 상용화 시기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포괄적 제휴를 통해 양사가 공동 개발한 M램 제품은 합작사 설립을 통해 공동 생산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양사는 투자 위험을 축소하고 신속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하이닉스는 도시바와 기존의 반도체 특허 상호 라이선스 및 제품의 장기 공급 계약을 연장함으로써 양사간 특허 분쟁으로 인한 사업 불확실성을 완화됐다.
하이닉스 관계자는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양사 위상을 감안하면 이번 협력은 차세대 메모리 시장의 경쟁 구도를 결정할 중요 사건"이라며 "아울러 향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