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여신금융업계에 따르면 현대캐피탈과 현대카드, 삼성카드, 비씨카드, 신한카드, 하나SK카드 등은 최근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고객들에게 인터넷 포털사이트 해킹에 따른 피해 예방을 위해 홈페이지 비밀번호를 바꾸라고 공지했다.
이는 최근 다른 사이트의 대량 해킹사태로 자사 고객과 관련된 정보도 유출됐을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고객이 불의의 피해를 볼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다.
특히 지난달 말에 국내 3대 포털인 SK커뮤니케이션즈의 싸이월드와 네이트에서 3500만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상 최대규모의 해킹 사고를 주목하고 있다.
카드사와 할부금융사를 이용하는 고객 중에 싸이월드 등에서 쓰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자사 홈페이지 로그인 시에도 그대로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고객 5명 중 1명 정도는 같은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각종 사이트에 가입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면서 "해킹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금융회사에 접속하는 비밀번호는 다르게 설정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난 4월에 175만명의 고객정보가 유출돼 곤욕을 치른 현대캐피탈과 관련 회사들이 가장 적극적이다.
현대캐피탈의 경우 금융거래 비밀번호로 주민등록번호와 생일 등 개인정보와 관련성이 높은 문자나 숫자 사용의 사용을 자제하도록 권고했다. 또한 안전한 개인정보 유지를 위해 3개월에 한 번씩은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게 좋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현대카드는 이달에만 3차례 고객 서비스를 일시 정지하면서까지 대대적인 시스템 점검 작업을 벌였다.
현대캐피탈 관계자는 "지난 4월 고객 정보 유출 사태 이후 해킹 등 고객 정보 보안에 더욱 신경을 쓰고 있다"면서 "고객의 처지에서 가장 확실하게 해킹 피해를 막을 방법은 비밀번호를 자주 바꾸는 것밖에 없어 이같은 내용을 공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