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한국원자력학회컨소시엄은 이날 오후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 신관에서 사용후 핵연료 관리방안에 관한 2차 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경주시의회 의원 20여명이 단상을 점검한 채 행사 진행을 막아 결국 열리지 못했다.
이날 공청회 참석 대상은 인문사회 등 원자력 분야 전문가 이외 관계자들로서 현장에는 200여명이 있었다.
이에 앞서 컨소시엄은 지난 19일 원자력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1차 공청회를 열어 국내 원전 내 사용후 핵연료 임시저장시설을 늘려 임시저장시설 포화 시점을 당초 2016년에서 2024년으로까지 늦출 수 있다는 연구용역 결과를 내놨다.
특히 이를 바탕으로 포화되는 원전부터 원전별로 중간저장시설을 확보하는 대안과, 2020년 초까지 별도의 부지에 중간저장시설을 확보하는 대안도 제시했다.
이날 경주시 의원들은 당초 경주 방폐장 확정 때 발전소 내 사용후 핵연료 임시저장시설이 2016년 포화되면 다른 지역(경주 월성 이외)의 중간저장시설로 옮긴다는 게 흐름이었으나 최근 들어 그 내용이 바뀐 용역 결과를 비판하며 공청회 개최를 반대했다.
또 경주 방폐장 확정 때 정부가 특별지원하기로 한 사업 55개의 추진 실적이 미흡하다고 이들이 말하는 것도 공청회를 반대하는 배경이었다고 지경부는 전했다.
지경부는 이날 2차 공청회가 무산됨에 따라 애초 다음 달 초로 검토했던 사용후 핵연료 관리대안의 최종 연구용역결과 및 향후 관리대안 기본방침의 발표 시기를 늦추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