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예상보다 크게 둔화돼 중국의 실물경제가 흔들리면 한국 경제에도 직격탄이 될 수 있어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12일 기획재정부와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며 매년 9%를 웃돌던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내년 경착륙한다면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에 심각한 충격을 가할 수 있다.
◆ 中 성장률 둔화 한국경제에 직격탄
중국경제의 최근 10년간(2001~2010년) 평균성장률은 10.5%다. 2001년 8.3%를 마지막으로 한 해도 8%대 성장률을 기록한 적이 없다. 분기 기준으로 중국 경제성장률이 8% 아래로 내려간 적은 2008년 4분기(6.8%)와 2009년 1분기(6.5%)에 있었다.
중국이 세계 경제성장의 엔진 역할을 해왔다는 점에서 이런 상황은 세계 모든 나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거대한 소비 시장인 중국이 침체에 빠지면 미국의 이중침체(더블딥) 가능성이 커지고 유럽 재정위기도 악화할 수밖에 없다.
우선 중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수출기업의 피해가 가장 클 것으로 보인다. 중국 현지 법인도 철수 압박에 직면할 수 있다.
이치훈 연구원은 “중국 경제 성장률이 1% 떨어질 때마다 한국 경제 성장률은 0.3∼0.5% 낮아진다고 봐야 한다”고 추산했다.
삼성증권 전종규 연구원은 “경제적 의존도를 고려할 때 중국의 경착륙으로 한국 경제가 받을 충격은 미국 경기침체나 유럽 재정위기보다 더 크다고 봐야 한다”고 경고했다.
◆ 정부 “과도한 우려는 금물”경계
정부와 경제 전문가들은 이 같은 우려에 대해 중국 경제가 서서히 힘을 잃을 수도 있지만 아직 심각한 단계는 아니라고 진단했다. 중앙정부가 성장률이 급락하는 최악의 사태까지 방관하지 않을 것이라며 따라서 과도하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우리투자증권 안기태 연구원은 “중국 부동산 시장에서 정부가 갖는 영향력을 고려할 때 위험이 확산하지는 않을 것이다. 은행권에서도 4대 국영은행이 주도적 기능을 하고 있어 부실이 커지면 정부가 개입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가 긴축 정책을 완화하면 위축된 소비가 빠르게 회복될 가능성도 있다. 그렇게 되면 중국의 경착륙 우려는 자연스럽게 낮아진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경착륙에 해당하는 중국의 7%대 경제성장을 정부가 방치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오히려 현재로서는 유럽발 재정위기가 미칠 글로벌 경제침체 장기화에 대비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