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 재보선 D-6] 박원순 지지율 하락에 야권 '분열조짐'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범야권 박원순 후보가 지지율 하락세를 면치 못하면서 기존 야당들이 거리 두기를 보이고 있다.

선거 초반 전폭적 지지에 나섰던 민주당은 최근 박 후보의 유세활동 및 정책지원, 한나라당의 네거티브 반격에 미온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 지지세력인 국민참여당이나 민주노동당 등 진보 정당들도 선긋기에 나서고 있다.

20일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박 후보의 유세일정 9개 중 단 3개만을 동행했다. 최근 5일 동안 치러진 유세에서도 20~30%의 참석률을 보이며 선거초반 모든 유세일정에 동행하며 전폭적 지지를 보냈던 것과는 대조를 이루고 있다.

이는 최초 15%포인트 이상 벌어졌던 지지율 격차가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역전 혹은 오차범위 내의 접전을 벌이자, 박 후보의 패배를 대비해 책임론을 의식, 어느정도 거리두리에 나선 것이다.

특히 당 비주류가 박 후보의 입당을 강하게 주장했으나, 손 대표가 박 후보의 입당 불가 원칙을 존중한 점에 대한 책임론을 회피하기 위한 조치로도 해석된다.

민주당 관계자는 "박 후보를 민주당 후보로 내세웠다면 당 전체의 전폭적인 지지와 조직활동, 네거티브 공세 대응 등 체계적인 선거활동이 가능했을 것"이라며 "박 후보가 입당을 거절한 것은 기존 야당들의 지원을 거절한 셈"이라고 평가했다.

손 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 입장에선 만약 박 후보가 서울시장 선거에서 낙선할 경우 책임론을 피하기 어려우며, 중장기적으로 총선과 대선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를 감지한듯, 노무현 전 대통령의 지지층인 국민참여당이나 민주노동당 등 진보 정당들도 박 후보 지원에 소극적인 모습이다.

박 후보는 그동안 유시민으로 상징되던 열린우리당 노선과 전략으로 선거에 임해왔다. 기존의 민주당의 틀에서 벗어나, 비호남 유권자와 '시민운동가'의 이미지를 통해 한발 빗겨나면서 중도층에 어필해 온 것.

하지만 선거일이 다가올수록 오히려 이러한 전략이 발목을 잡는 형국이다.

유시민 대표 등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선례를 압축적으로 되풀이하고 있지만, 오히려 친노계의 정체성을 침범하게 되며 서로의 거리가 멀이지고 있는 모습이다.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박 후보의 지지를 호소하고 있지만, 이는 야권 통합을 통한 대권 도전이란 문 이사장의 정치적 목적이 더 크다는 것이 정치권 안팎의 시선이다.

민노당도 박 후보의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이정희 대표 등 당지도부 차원의 간헐적 차원에 그치고 있으며, 진보신당 등 기타 야당은 박 후보에 대한 지원 계획을 잡지도 못한 실정이다.

이는 야권통합 문제가 진척되지 않는 상황서, 제3의 정치 세력의 등장을 경계한 움직임이라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