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부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한 홍준표 대표는 명확한 쇄신방안을 내놓지 못한 채 “의견 수렴 중”이라는 입장이고, 당 내에서는 청와대와 이명박 대통령을 향한 비판과 박근혜 전 대표의 역할론까지 제기되며 계파별 ‘이전투구’에 몰두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원희룡 최고위원은 3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앞으로 청와대는 개편과 개혁에 대해 누적된 강도높은 요구에 부닥치게 될 것”이라며 “대통령과 청와대에 대해서도 더는 예의를 지키고 배려할 이유가 없다”고 청와대에 직격탄을 날렸다.
이에 홍 대표는 “빠른 시일 내에 천막당사 시절과 같은 파격적 당 개혁안을 마련할 것”이라고만 언급한 채, 구체적 사안에 대해서는 함구했다.
이범래 대표비서실장은 “(당 쇄신안이)어떤 방향으로 나올지는 아직까지 알 수 없다”며 “다만 다양한 분야에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만 언급했다.
정두언 여의도연구소장 및 정태근 의원을 비롯해 당 혁신에 대한 목소리에 앞장서 왔던 쇄신파 의원은 역시 청와대를 향해 칼끝을 겨누고 있다.
정 의원은 “(이번 선거 패배의 책임에 대해)당 지도부를 바꾼다고 해결될 것이 아니다”며 “정권자체를 구조적으로 바라보고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소장과 정 의원을 비롯해 남경필 최고위원과 이혜훈 제1사무부총장, 구상찬 김세연 홍정욱 의원 등 당내 쇄신파 의원들은 최근 당 쇄신을 위해 의견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원은 “우선 급박한 문제인 한미 FTA가 해결되고 나면 (쇄신파 의원들이 의논한 당 개혁안에 대해)바로 의견을 개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박근혜 전 대표가 전면에 나서서 당을 이끌어야 한다는 주장을 두고도 “박 전 대표가 책임을 지고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비(非)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과 “자신의 위치에서 국민들을 만나는 것이 진정한 변화”라는 친박 의원들의 설왕설래가 이어지며 당 쇄신 방향이 하나로 모이지 못하고 ‘우왕좌왕’하고 있다.
당내 핵심 관계자는 “청와대 비판론은 단순히 책임을 청와대로 돌리는 것 아니냐”며 “(지금처럼)내년 총선에서 살아남기 위한 당내 계파 ‘이전투구’에 몰두하는 한 한나라당이 민심을 받을 수 있는 길은 없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