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현지 언론들에 따르면 잉락 총리는 지난달 30∼31일 방콕 외곽 쌈와 수로 지역에서 주민 1000여명이 수문 개방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자 주민들과 협상을 벌인 끝에 수문을 100㎝ 높이로 개방키로 합의했다.
이 지역 주민들은 정부 당국이 방콕 도심을 보호하기 위해 수로의 수문을 열지 않아 해당 지역에 고여 있는 물이 신속하게 빠지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수문을 150㎝ 높이로 개방하지 않으면 수문을 파괴하겠다고 위협했다.
잉락 총리는 “수문 남쪽의 침수 위기가 우려되면 수문을 100㎝ 높이로 계속 개방할 수 없을 수도 있다”고 전제하면서 주민들의 의견을 고려해 수문을 일부 개방키로 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야당인 민주당 소속인 쑤쿰판 빠리바뜨라 방콕 주지사는 쌈와 수로의 수문이 개방되면 수로 남쪽의 지역들이 침수될 위기에 처한다면서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쑤쿰판 주지사는 1일 경찰과 시 공무원들을 쌈와 수로에 급파, 주민 시위과정에서 일부 파괴된 쌈와 수로의 수문을 보수하도록 했다.
쑤쿰판 주지사는 방콕 시장의 권한으로 수문 수리를 지시했다면서 방콕 시 공무원들의 수문 보수 작업을 방해할 경우 징역 3개월과 6000바트(약 22만원)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민주당 당수인 아피싯 웨차치와 전 총리도 “군중들의 압력에 굴복해 정부 당국이 수문 개방을 결정했다”고 비판하면서 “방콕내 어떤 곳도 아직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짜와논 민주당 대변인은 “정부는 국가 전체의 이익을 위해 쌈와 수로를 지켜야 한다”면서 “(방콕 도심을 위해 희생한) 지역 주민들에게는 완전한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재욱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