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1000조원을 향해 치닫고 있는 가계부채가 전세금 상승에 더욱 악화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19일 한국은행과 국민은행의 주택전세가격지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 11월 현재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106.5(2011년 6월=100)로 전년 같은 달보다 14.5% 올랐다.
이는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4.2%의 3.45배. 또한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2001년 1월 53.9에서 2011년 11월 106.5로 약 10년 간 2배 이상 뛰었다.
이 가운데 강북권 아파트 전세금은 1년 전보다 15.3% 올라 강남권의 13.9%보다 1.4%포인트 높았다.
실제로 서울 내에서 아파트 전세금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성북구(17.4%), 도봉ㆍ노원구(17.3%), 성동구(17.2%), 송파구(15.7%) 순이다.
규모 또한 전용면적 62.8㎡ 미만인 소형아파트(15.9%)의 오름세가 62.8㎡ 이상∼95.9㎡ 미만인 중형아파트(15.0%)와 95.9㎡ 이상인 대형아파트(11.5%)에 비해 컸다.
이같이 전세금이 매매가보다 오르면서 지난달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금 비율은 50.8%로 2003년 9월 51.7% 이후 8년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서민 거주 비중이 높은 강북권과 소형아파트 중심의 전세값 상승으로 가계부채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박덕배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전세금이 계속 오르면 가계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더 많은 빚을 지는 등 벼랑 끝으로 몰릴 수 있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이같은 전세가 상승으로 주택금융공사가 신용보증을 해주는 전세자금보증은 지난 8월부터 8000억원 이상 증가해 11월 현재 총 보증액은 8조4731억원에 달한다.
한은 또한 지난 10월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이 올해 들어 최대폭으로 늘어난 것은 주택 신규분양 증가와 전세난 때문으로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서울의 전세금 상승은 전세자금대출을 야기하는데 대다수의 서민 가계가 이미 전세금을 대출로 마련한 경우가 많아서 전세금 급등은 과다채무 양상, 가계부채 부실화와 같은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대신 최근 정부가 내놓은 12.7 부동산 대책에 따라 임대주택 공급이 늘어난다면 전세금 하락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지만 실효성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는 진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