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소속인 김 위원장은 27일 "감사원의 CNK 감사는 정권실세가 개입한 권력형 비리를 개인 비리로 격하시켰다"며 "감사 결과가 너무 미흡하기 때문에 실체적 진실에 접근하기 위해 당사자들을 불러 국민 앞에 낱낱이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외교통상부 김은석 에너지자원대사가 증시에 영향을 주는 보도자료를 낸 경위와 장관과의 사전 상의 여부, 감사원의 늑장감사 및 금융당국의 조사 지연 이유 등에 대해 전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국회 국정감사는 여야 지도부 간 합의가 필요해 상임위 차원의 청문회 개최를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간사인 김재경 의원은 “상임위가 조사에 나서는 것 자체를 반대하진 않는다”면서도 “감사원 감사 이후 검찰이 수사 중인 상황에서 청문회까지 개최하면 정치적 과잉 아닌가 싶다. 원내대표단과 상의한 뒤 결론을 내겠다”고 말했다.
지경위는 지난 19일 전체회의에서 외교부·금융감독원·지식경제부·박영준 전 지경부 차관 등이 출석하는 청문회를 적극 검토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