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록의 투어스토리> 세계 7대 자연경관 논란, 철저한 진상 조사를...

(아주경제 강경록 기자) 노벨상이 세계적인 권위를 인정받는 이유는 수상시 받는 엄청난 상금도 있지만 엄격하고 객관적인 잣대로 심사의 공정성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만약 노벨상이 누군가에 의해 의도적으로 조작되었거나 상을 빌미로 대가를 요구했다면 오늘날의 명성은 없었을 것이다.

지난 25일 방송된 KBS ‘추적 60분’의 ‘세계 7대자연경관, 그 논란을 추적하다’편에서는 제주도의 세계 7대 자연경관 선정과정에 많은 문제를 제기했다. 제작팀은 ‘세계 7대자연경관’ 이벤트를 벌였던 '뉴세븐원더스(The New7wonders)재단'과 선정 과정에서 증폭된 의혹의 실체들을 낱낱이 고발했다. 방송을 통해 드러난 뉴세븐원더스재단은 의문투성이의 정체불명 단체였다. 또 몰디브와 인도네시아가 후보지에서 빠진 이유가 거액의 후원금을 요구했기 때문이라는 사실도 밝혀졌다.

제주도도 선정과정에서 200억원의 국제전화비를 소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는 공무원들을 동원해 하루에 4통씩, 1억통 넘게 전화투표를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방송 후 '세계 7대자연경관’캠페인을 주관한 회사가 뉴세븐원더스재단이 아닌, 그 재단 버나드 웨버 이사장의 개인 회사인 NOWC(뉴오픈월드코퍼레이션)이라는 사실도 드러나 상업주의 논란을 더 부추길 것으로 보인다. 또 뉴세븐원더스재단은 아직까지 제주도를 제외한 다른 지역은 여전히 발표하고 있지 않다. 다른 지역은 집계되지 않았다는 것이 그 이유다.

문제가 커지자 이 재단의 웨버 이사장과 장 폴 이사가 지난 26일 방한해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다. 재단측은 ‘추적 60분’의 내용에 대해 편향된 방송이라며 반박했다.

그렇지만 이들은 제기된 의문에 대해 속시원한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전화 투표수, 계약 내용, 우리 정부가 지출한 비용 등 핵심 의혹 사항은 하나도 공개하지 않아 되레 의혹만 증폭시켰다는 지적을 받았다. 오히려 제주관광공사측은 선정된 이후 외래객이 증가했다며 선정가치를 깎아내리지 말아달라고 호소했다.

이에 시민단체들은 선정과정 의혹을 밝히기 위해 감사원에 감사 청구를 준비하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뉴세븐원더스재단이 세계 7대자연경관이라는 허울좋은 껍데기로 포장해 한국 정부와 제주도를 상대로 사기를 쳤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제 남은 것은 철저한 진상조사다. 비록 뉴세븐원더스재단이 사행적이고 불법적인 일을 했다고 하더라도 우리 정부는 철저히 검증하지 못한 원죄가 있다. 정부는 더이상 여론몰이식으로 선정 결과를 홍보하는 것에서 벗어나 무엇이 국익에 보탬이 되고 제주도를 위한 일인지 정확한 판단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성과지상주의가 낳은 또다른 폐혜로 기억될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