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위원장이 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대체재’로 주목받는 것은 여당의 갈등기류 때문이다. 당 쇄신, 공천을 놓고 한나라당의 분열이 가속화되면서 “박근혜 대세론은 없다”(홍준표 전 대표)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오고 있다.
특히 정치권의 ‘대기업 때리기’가 급물살을 타면서 반(反)재벌 정책의 이론을 제공한 정 위원장의 입지도 강화되고 있다.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기조의 한 획을 그은 ‘초과이익공유제’는 그의 작품이다.
정 위원장은 “대기업은 정부의 비호 속에서 성장했고 협력업체들을 닥달해 얻은 결과가 초과이익”이라며 이건희 삼성 회장 등에게 거침없는 하이킥을 날리고 있다.
사회 양극화 해소 등 경제민주화가 내년 대선의 승패를 좌우하는 이슈가 된다면 그는 경제학을 전공치 않은 박 비대위원장에 비해 앞설 수 있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또 ‘구도’가 잘 그려진다는 의견도 정가에선 나온다. ‘세종시 수정’ 논란 당시 두 사람은 대척점에 서 있었다. 박 위원장은 국민과의 약속을 내세워 세종시에 행정기관을 옮기는 원안을 고수했다.
반면 정 위원장은 당시 국무총리로서 ‘교육과학기술비즈니스벨트’로 도시의 자족기능을 높여야 한다고 수정안을 밀었다. 결국 박 위원장이 승리했고 정 위원장은 쓸쓸히 전장을 떠났다. “패자가 설욕전을 펼칠때는 더욱 전투력이 배가된다”(친이계 의원)는 응원의 목소리도 나온다.
공천위가 꾸려진 한나라당에서 박 위원장은 인적 쇄신을 놓고 친이(이명박)계와 맞서야 한다. 인물난에 허덕이는 친이진영에선 정 위원장도 소중한 출전선수가 될 수 있다.
정 위원장이 ‘권력의지’도 있다는 평이다. 17대 대선 당시 범여권에선 정 위원장을 이명박 당시 한나라당 후보와 맞설 ‘잠룡’으로 분류했다. 그러나 현정부에서 국무총리 제의를 정 위원장은 받아들였다.
민주통합당의 한 중진의원은 “우리쪽에서 저쪽(여당)으로 간 인사지만, 권력의지는 강해보인다”며 “그러나 YS(김영삼 전 대통령)처럼 호랑이굴에서 호랑이는 잡지 못할 것 같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