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대출금리 16%…역대 최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2-02 21:1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영향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지난해 저축은행 대출금리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의 영향으로 가계대출 비중을 늘린 탓이다.

2일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저축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일반대출 가중평균금리는 연리 16.02%다. 이는 2004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

저축은행 대출금리는 금리 통계를 낸 2004년 12.00%를 기록한 후 2010년까지 꾸준히 10~12%대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저축은행들이 PF대출을 줄이고 가계대출 비중을 늘려감에 따라 가중평균금리가 자연스레 상승한 것이다.

지난해 구조조정 몸살을 겪은 저축은행업계로서는 본격적인 구조조정 과정에서 가계대출 비중을 늘리는 쪽으로 대출 구성이 바뀔 수 밖에 없었다는 게 한은 측 설명이다.

저축은행 주 이용 고객인 저신용·저소득층이 부채상환에 압박을 겪게 될 경우, 저축은행의 연체율 상승은 불가피하다. 가뜩이나 업계가 어려운 시점에서 이들 차입자들의 대출상환이 잘 이뤄지지 않으면 자연스레 저축은행의 부실이 예상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반면 신협과 상호금융 대출금리는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신협 일반대출금리는 7.31%, 상호금융 일반대출금리는 6.21%다. 금리를 집계한 1997년 이래 가장 낮았다.

금융당국의 은행 가계대출 규제 이후 상대적으로 우량한 고객이 제2금융권으로 옮겨간 데 따른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은행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으로 대출 수요가 신협과 상호금융 같은 제2금융권으로 옮겨가는 풍선효과가 생겼다”고 말했다.

한 대형저축은행 관계자는 “돈 굴릴 다른 곳도, 선택의 여지도 없다. 당국이 권장한대로 저축은행 본연의 소액신용대출 업무를 하는 것 뿐”이라며 “저축은행 리스크 관리 역량이 비약적으로 발전했음을 배제한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대안 없는 비판은 비판을 위한 비판으로 업계에 좋지 않은 영향만 미칠 뿐”이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