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원장은 제주시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제주 세계 평화의 섬’ 지정 7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기조강연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현 정부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유연성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한 신지도부가 쏟아내는 험구(險口)에 개의치 않고 더 많은 유연성을 발휘하면서 정부간 관계 개선을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며 “북한이 성의로 화답한다면, 남북교류나 대북지원에 비대칭적 관용과 포용을 발휘하는 것이 당연한 다음 수순”이라고 말했다.
같은 맥락에서 금강산 관광 및 6자 회담 재개도 보다 전향적 자세를 취해볼 것을 제안했다.
김 원장은 “금강산 재개를 위해 신변안전 보장 이외 요구조건을 철회하고 재협상을 시도해볼 필요가 있다”며 “북한 신지도부가 핵무기를 체제수호의 궁극수단으로 간주하는 한 북핵 해결은 북 체제변화에 의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6자회담은 하는 것이 하지 않는 것보다 낫다’ 정도의 인식을 갖고 가볍고 유연한 자세로 회담재개 협상에 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더 장기적인 차원에서 ‘북한의 변화’라는 중요한 목표를 망각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하며, “어떤 경우에도 우리의 통일목표는 북한의 바람직한 변화에 이은 합의적 평화통일이며, 이를 위해 북한 지배층이 안전하게 적응해나갈 수 있을 정도의 시공간적 여유를 열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