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서울·경기·인천)과 5대 광역시(광주·대구·대전·부산·울산) 등에서 공급된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를 조사한 결과 8개 지역 중 5곳이 지난 2010년보다 내려간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울산이 지난해 3.3㎡당 833만원으로 2010년 991만원보다 158만원이 내려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인천은 같은 기간 3.3㎡당 1169만원에서 1024만원으로 146만원, 경기도는 1132만원에서 1065만원으로 67만원 각각 떨어졌다. 광주(3.3㎡당 8만원)와 대구는(3만원)는 소폭 하락했다.
업계에서는 아파트 분양가가 전년도보다 떨어진 가장 큰 이유로 미분양 우려를 꼽고 있는 상황이다.
분양이 잘 되지 않으니 업체는 마진을 줄이고 재개발·재건축은 조합원이 부담금을 더 내며 분양가 인하에 나서는 것이다.
반면 서울과 부산, 대전에서는 분양가가 올랐다.
서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2010년 1701만원에서 지난해 1731만원으로 30만원 올랐다. 대전(3.3㎡당 883만원)과 부산(818만원)도 같은 기간 각각 162만원, 148만원 상승했다.
서울의 경우 기존 토지가격이 높기 때문에 분양가 인하에 한계가 있고, 부산은 집값 상승과 함께 청약이 호조를 보이며 분양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됐다. 대전의 경우 인근 세종시(행정중심복합도시) 호재가 작용했다.
닥터아파트 관계자는 “주택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수요자의 눈높이에 맞춰 분양가를 내려 시세보다 분양가를 비싸게 받는 관행이 깨졌다”며 “작년 지방 분양시장 호황에는 분양가 현실화도 한 몫을 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