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월스트리트저널(WSJ)애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일본 단기 국채를 4조190억엔(한화 약 523억5000만달러)를 순매도했다. 이는 2010년 4304억에보다 10배이상 많은 규모다. 대신 중·장기 국채를 5414억엔을 사들였다.
중국의 일본 국채는 총 10조4900억엔이다. 이는 2010년(3조4200억엔)보다 3배이상 늘어난 규모다.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는 1조1320억달러다. 상대적으로 일본 국채 매입에 적극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일본 국채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는 중국은 조만간 금융시장을 개방하라는 외부의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전했다. 중국은 위안화를 국제화하며 금융 시장을 개방하고 있으나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중국 국채시장은 제한되어 있다.
키요히코 니시무라 일본중앙은행(BOJ) 부총재는 “위안화의 국제화는 중국 국채시장에서 외국 자본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지 않는 한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했다.
아즈미 준 일본 재무상은 지난주 의회에서 “중국은 일본 국채를 확대하고 있다”며 “중국의 위안이 국제화되길 원하기 때문에 위안화로 된 중국 국채를 살 예정이다”고 말했었다.
중국에 의한 일본 국채거래가 활발해지고 있으나 일본은 국채시장이 당분간 진정되어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의 일본 국채의 거래는 커지고 있으나 주요 변수는 아니라는 것이다. 예컨대 지난해 영국의 경우 일본 국채 거래량은 중국의 3.5배이상이다.
준 카와카미 미즈호증권 애널리스트는 “일본의 단기 국채는 중국의 주요 거래 수단이지만 (국채시장은) 이미 충분한 유동성과 수요를 확보하고 있다”며 “중국이 국채 시장에서 주목받을 만한 정도는 아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