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한파와 폭설이 이어지면서 채소류 출하가 급감함에 따라, 겨울철 소비가 많아지는 배추와 무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것이다.
일조량 부족까지 이어지면서 일부 하우스 농가에서는 작황을 돕기 위한 인공조명이나 난방을 실시하고 있지만, 유류비 상승으로 인해 난방비 등도 덩달아 급등하고 있어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이처럼 줄어든 산지 물량은 고스란히 중간상인과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미쳐, 가격인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9일 한국소비자원 생필품 가격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배추 값은 전월 대비 10.5%, 무는 4.0% 올랐다.
이마트는 9일 기준으로 배추를 1230원에 판매하고 있었다. 작년 12월 1180원보다 4.24% 올랐다. 롯데마트도 같은 기간 1300원에서 1400원으로 값이 7.69% 가량 껑충 뛰었다. 홈플러스는 작년 12월 똑같은 1480원에 배추를 내놓고 있다.
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서는 배추(3입)가 전주 대비 1300원(35.6%) 오른 4950원에 거래되고 있다. 무도 한파의 영향으로 출하량이 감소하며, 전주보다 210원(21.2%) 오른 1200원에 판매 중이다.
배추뿐 아니라 시금치와 고추 등 하우스 작물의 가격 인상폭도 눈에 띈다. 지난 8일 기준 서울 가락동 농수산물 시장에서 판매되는 시금치(10kg)는 2만 3429원으로 지난달 보다 58% 가량 올랐고, 청양고추(10kg)역시 9만 4344원으로 같은 기간 85%나 급등했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현재 배추 시세는 전년 대비 절반 정도 수준이지만 한파로 인해 월동배추 산지 피해와 작업량 감소로 전월대비 소폭 오르는 추세"라며 "당분간 배추와 무 값 상승은 계속 될 것" 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