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1조원 이상의 순이익을 올린 것으로 추정되는 상장사 21곳 중 6곳이 시중은행이다.
해당 은행은 신한, KB, 우리, 하나금융지주와 기업, 외환은행이다.
시중은행 6곳이 1조원 클럽에 가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신한금융은 은행권 최초로 3조원 이상의 순이익을 기록해 삼성전자, 현태차, SK, 포스코, 기아차, 현대중공업에 이어 전체 상장사 중 7위에 오를 전망이다.
KB, 우리금융 등의 순이익은 2조원을 넘는 준이다.
이들 시중은행의 순이익은 올 들어 격화된 은행 간 경쟁과 수수료 인하로 다소 감소할 수 있으나 순항은 지속될 것이란 분석이 우세하다.
신한금융의 순이익은 올해도 3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보이며 KB, 우리금융도 각각 2조원 안팎의 순이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순이익이 1조원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이는 곳은 외환은행이 유일하다.
은행별 올해 순이익 전망은 신한금융 2조 8000억원, KB금융 2조 3000억원, 우리금융 1조 8000억원, 기업은행 1조 6000억원, 하나금융 1조 3000억원, 외환은행 8800억원 순이다.
앞선 2008년에는 우리은행, 2009년에는 하나은행이 순이익 2000억원을 겨우 넘겼다.
또 2010년 국민은행의 순이익이 112억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폭발적인 성장세다.
일각에서는 은행권이 대출금리는 올리고 예금금리는 내리는 방식으로 예대마진을 키워 수익을 올렸다며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실제로 2009년 2.68%포인트였던 은행 예대마진은 2010년 2.85%포인트로 오른 데 이어 지난해 2.96%포인트까지 뛰었다.
전세금, 물가, 사교육비 등의 상승으로 은행 신세를 져야 하는 서민들의 주머니를 털어 막대한 이득을 챙긴 셈이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은 “은행의 이익 기반이 탄탄해졌다는 것은 대형은행 중심의 시장구조가 굳어졌다는 뜻”이라며 “대출금리 인하 요구에 꿈쩍도 하지 않으니 순이익이 많이 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