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통상부는 일반국민 1500명을 대상으로 최근 실시한 전화 설문조사 결과 35.6%가 '우리나라에서 핵ㆍ방사능 테러나 원자력 시설에 대한 공격 등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답했다고 10일 밝혔다.
핵테러 유형으로는 ‘북한의 공격 테러’를 꼽은 사람(15%)이 가장 많았다. 이어 '핵ㆍ원자력 시설 등에 대한 파괴나 오작동 유도'가 9.6%로 그 뒤를 이었고 '핵폭탄'과 방사능 살포 테러'가 각각 7.5%, 4.7% 등 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54.4%)은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올 3월 개최되는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에 초청한 사실을 알고 있었으며 상당수의 응답자는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에서 북핵문제가 핵심 의제(23.6%)로 논의되거나 어느 정도(43.6%)는 다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또 응답자 93.9%는 원자력 안전문제도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의 의제로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전문가(100명)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전체의 31%가 우리나라에서 핵ㆍ방사능 테러나 원자력 시설에 대한 공격 등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으며 그 유형으로 ‘핵ㆍ원자력 시설 등에 대한 파괴나 오작동 유도’(74%)를 꼽은 사람이 가장 많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