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예비후보는 이날 새출발을 하는 학생들의 진로를 축하하면서 고졸 취업은 일 자리의 질이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고졸 취업 장려라는 큰 흐름에는 찬성하고 힘을 보탤 것이지만, 임시직 일용직으로 고졸 학생들을 취업시킨 후 ‘힘겨운 미래’를 살게하는 것은 어른들의 무책임”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명박 정부 들어 고졸 채용 강화라는 이름으로 기본적인 노동권이 무시된 채 산업 현장에 투입되는 것은 정말 잘못된 일”이라며 “이제 청소년들의 노동 인권도 본격적으로 정치권이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위원장은 “현 민주통합당 시당위원장으로 이와 같은 청소년 노동인권 침해 사례가 있는지 면밀히 검토 하고 있다”며 “최대의 복지는 근로 빈곤층을 양질의 일자리로 끌어 올리는 것인데 고졸 학생들의 첫출발이 어른들의 욕심이 쳐놓은 근로 빈곤층의 덫에 걸리지 않고 청운의 꿈을 펼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