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종 전 본부장은 2006년 1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한·미 FTA 추진을 천명한 이래 1차 타결까지 책임진 인물이다. 유럽연합(EU)과 미국을 상대로 FTA를 동시에 추진하는 지렛대 전략을 쓰며 산파역을 했다. 실제 그는 한미 FTA 협상 과정에서도 수전 슈워브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피터 맨덜슨 EU 통상담당 집행위원 등 전 세계 고위급 통상 담당자들과 전화로 직접 대화하면서 국제적 네트워크를 백분 활용했다.
그는 작년 한미FTA 비준안 처리를 놓고 국회가 공전을 거듭할때 “한미 FTA를 반대하는 분들은 (득실을 따지기 보다) 미국을 반대하기 때문이 아니냐”고 맞받아치기도 했다.
‘검투사’ 김종훈 전 본부장은 김 전 본부장과 함께 2006년부터 한국 협상단 수석대표를 맡으면서 한미 FTA협상을 이끌었다. 김현종 전 본부장이 총괄지휘를 했다면 김종훈 전 본부장은 야전사령관이었다. 날카로운 눈매와 협상장에서 뿜어내는 강한 카리스마 때문에 ‘검투사’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2007년 6월 양국이 협정에 공식 서명한 뒤 비준 과정에서 위기가 발생할 때마다 해결사로 나섰다. 2008년 쇠고기 추가 협상 때는 “귀국하겠다”며 협상장을 박차고 나가 극적으로 타결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한미FTA 주역들은 제2의 인생을 준비하고 있다. 김현종 전 본부장은 2009년 3월부터 삼성전자 해외법무팀 사장으로 일했고 올초 사임했다. 삼성전자는 3년 임기의 상담역 자리를 제안했지만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가 변호사 출신이기 때문에 미국측 로펌에 갈 것이란 예상과 함께 정계 진출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김종훈 전 본부장은 4월 총선 출마의사를 밝혔다. 새누리당에서 총선 출마 제안을 받고 이를 수용한 것이다. 그러나 민주통합당 등 야권이 총·대선 공약으로 한미FTA 폐기를 전면에 세우면서 여당내에서도 ‘김종훈 공천’ 회의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한미FTA 비준안 강행 처리 후 반대 여론이 찬성보다 높아진 상화에서 김 전 본부장의 영입은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때문이다.
이들이 이런 정치적 논란을 뚫고 정계에 진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