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소속 윤병우 연구원은 21일 이 같은 내용의 ‘교육환경과 아파트 전세가격간의 관계 분석’ 논문을 발표했다.
윤 연구원이 지난 2008~2010년 주택형 3개 이상의 강남3구 아파트 단지 1225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구내 행정동에서 서울대 합격생이 1명 늘어날 때마다 전세가격은 197만원 올랐다.
대학진학률의 경우 1%가 상승할 때마다 전셋값은 86만원, 중학교 전입률은 1% 늘어날 때 90만원 올랐다.
반면 보습학원은 1개 늘어나면 전셋값이 8만원이 상승해 상관관계가 다른 요소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교 주변 아파트의 경우 온라인 강좌가 활성화돼 지역 제한이 없어지면서 학원 수에 대한 민감성이 약해졌기 때문으로 윤 연구원은 분석했다.
생활편의변수 중 주차공간의 경우 단지내 평균 주차가능대수가 1대 늘어날 때마다 전세가는 1억488만원이나 상승했다. 이어 욕실(8669만원), 방(7901만원) 등 순이었고, 중앙·지역난방 아파트는 개별난방보다 4604만원 높았다.
전셋값을 올리는 상승변수와는 반대로 전셋값을 내리는 하락변수에서는 건물노후도의 영향이 가장 컸다. 입주년도에서 1년이 지날 때마다 전세가격은 247만원 떨어졌다. 또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과 중학교에서 1m씩 멀어질 때마다 각각 6만원, 5만원씩 하락했다.
한편 강남3구의 지난 3년간 전세가격은 4400만~23억2500만원대였으며, 평균 방 개수는 3.2개, 욕실은 1.67개, 주차공간은 가구당 1.5대였다. 아파트 평균 노후도는 13년이었다.
행정동당 보습학원 수는 평균 102.7개였으며 중학교 평균 전입률은 5.5%, 국내외 4년제 대학의 연평균 진학률은 45.7%, 서울대 진학자 수는 매년 8.5명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