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원내대표는 23일 오전 영등포당사에서 진행된 민주통합당 공천심사위원회 면접심사 뒤 기자들과 만나 "총선 전망과 관료 출신 의원의 이념적 정체성에 대한 질문"에 "30년간 경제부처에서 공직생활을 하면서 금융실명제와 부동산실명제 책임을 맡아 일하고 종합상속증여세를 강화하고 종합부동산세를 입법해서 부처에서는 '지나치게 진보적이고 과격하다'는 평가를 받았었다고 답변했다”고 전했다.
김 원내대표는 "당내 관료 출신 의원들은 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개혁의 의지와 방향성에 대해 진보정당으로서 갖춰야 할 요건에 미흡한 사람은 찾기 어렵다”고 총평했다고 말했다.
그는 정체성 논란 배경에 대해서는 “개혁 정책들이 예산과 법률의 뒷받침을 받으면서 현실에서 집행될 때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료 출신 의원들이 단계적으로 가거나 다른 정책과 조정하면서 가야 한다는 제안을 한다”면서 “그런데 결과적으로 그것만 강조돼 보수적으로 비쳐진 측면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개혁 의지가 있어도 잘못 집행하면 부작용을 낳고 국민의 신뢰를 잃게 된다”며 “대표적으로 참여정부 후반에 부동산 가격을 세금 폭탄을 때려서라도 잡겠다고 강공했다가 국민의 저항을 부르고 정권까지 잃지 않았느냐”고 반문했다.
김 원내대표는 “수권정당으로서 국민에게 신뢰를 받으려면 다양한 요소를 반영해서 가야 한다”며 “관료 출신 정치인들이 소중한 자산이 되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