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남 개포지구 재건축단지의 소형주택 비율을 50%로 확대하는 서울시의 요구에 주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23일 장덕환 개포지구 재건축추진위연합회장은 개포주공4단지 재건축추진위 사무실에서 "소형 비율을 주민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
23일 장덕환 개포지구 재건축추진위연합회장(서울 개포주공4단지 재건축추진위원장)은 오는 29일 서울광장에서 열리는 서울시의 소형주택 건립 확대 계획 철회 집회를 앞두고 시 요구안과의 절충안이 계획돼 있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서울시의 개포지구 소형주택 50% 이상 확대 방침을 놓고 시와 개포지구 주민간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강남구 개포주공 3단지에서는 소형아파트의 비율을 35%로 상향할 의사가 있는지를 묻는 설문이 진행됐다. 기존 소형주택 비율 20%와 서울시 요구안인 50%의 절충안인 셈이다.
장 회장은 이 설문과 관련해 "주민들 사이에서 한바탕 난리가 났었다"며 해프닝을 전했다. 일부 단지에서 여전히 소형 비율 20%를 강행하는데 왜 (분위기가 희석되게) 그런 것을 돌렸느냐고 주민들이 크게 반발했다는 것이다.
당시 설문방식도 틀렸다는 지적도 많았다고 덧붙였다. "소형 비율 25%를 원하는지, 35%를 원하는지 등 보기를 줘야 하는데 '35%면 받아들일 수 있느냐'의 방식은 잘못된 것이 맞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4단지에서 희망면적 설문조사가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입주희망 면적으로는 전용 59㎡(18평), 82㎡(25평), 99㎡(30평), 132㎡(40평)이 제시됐다. 타 단지들도 곧 설문에 들어갈 계획이다.
장 회장은 "최근 열린 서울시 심의에서도 소형인 전용면적 59㎡의 비율은 법적 비율인 20%보다 더 높은 22.6%였다"며 "향후 설문조사하면 소형 비율이 더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장 회장은 소형 비율을 주민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서울시 도시계획조례가 정한 소형평형의무비율인 2:4:4를 지키고, 그 외의 평형 선택권은 주민에게 돌려줘야 한다"며 "서울시가 법에도 없는 면적별 가구수를 강요하는 것은 법에 보장된 개인의 재산권 행사와 자율성을 부정하고, 행정권을 남용해 주민의 선택권을 말살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항의 집회를 앞두고 무엇을 가장 강하게 요구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는 "바라는 건 강남구청과 함께 수정한 마지막 심의 내용대로 통과시켜달라는 것뿐"이라고 대답했다. "심의할 때마다 시 요구가 많아지고 기준이 강화돼 주민들이 더이상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장 회장은 "개포지구는 고덕지구보다 먼저 재건축을 추진했지만 지금은 역전돼 고덕지구는 관리처분계획안까지 통과됐다"며 "개포지구는 아직 정비구역지정조차 해주지 않는 상황이다보니 주민들의 울분이 쌓이고 폭발할 지경"이라고 말했다.
장 회장은 "박원순 시장이 취임사에서 '시민이 시장이다'라며 소통하겠다고 했는데 그 말을 지켜줬음 좋겠다"고 말을 맺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