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주총 일정이 한 날에 몰려있을 뿐더러 소액주주들이 힘을 결집하기 위해 주총 의결권을 위임하려 해도 이마저도 회사측의 방해로 쉽지 않기 때문이다.
22일 상장회사협의회에 따르면 총 112개 상장사가 정기주총 일정을 확정했다.
특히 다음달 16일에는 포스코, 현대자동차, 삼성카드 등 33개의 주총이 몰려있다. 또 같은 달 25일에는 GS글로벌, 웅진케미칼, NHN 등 33개사의 주총이 동시에 열린다.
주총이 한 날에 몰리게되면 여러 회사의 주식을 동시에 지닌 소액주주들은 주주권 행사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더불어 일각에서는 소액주주들이 파편적으로 널려있는 주주권들을 한 곳에 모아 주총에서 힘을 발휘코자 하는 움직임도 일고 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
자원탐사개발업체 유아이에너지의 경우 이라크 유전개발에 뛰어들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았으나 이후 회사의 불성실공시, 대표 회계비리 의혹 등의 문제가 붉어지며 주권매매거래가 정지됐다.
이에 소액주주들은 스스로 회사를 살리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24일 감사 해임 및 선임 관련 임시주총을 개최할 예정이다.
하지만 유아이에너지측은 소액주주 회원들이 요청한 주주명부 열람을 거부하고, 임시주총 의결권 위임장에 인감증명서 첨부를 요구하는 등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어 소액주주들의 주주권 행사에 제약을 가하고 있다.
유아이에너지 소액주주 K씨는 “회사측에서 위임장에 임감증명서까지 요구하는 것은 소액주주들의 주주권 행사를 방해하려는 것으로 밖에 느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2010년 전자투표시스템을 도입했다.전자투표시스템이란 주주가 주총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도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전자투표시스템에 접속해 의결권을 행사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전자투표시스템을 도입한 회사는 37곳에 불과하다. 올해 들어선 전자투표제도를 신청한 상장사는 단 한 곳도 없다.
기업들이 전자투표시스템 도입을 꺼리는 이유는 소액주주들이 주총에 적극적으로 참석할 때 결정되는 결과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예탁원 한 고위관계자는 “만약 기업에서 전자투표시스템을 도입하게 되면 소액주주들의 주주권 행사 비율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 때 나오는 주총 결과에 대해 기업들이 우려하는 것 같다”며 “하지만 기업들은 우리나라도 소액주주들이 성숙했고 기업에 해가 되는 의사결정을 하지 않을 것이란 점을 염두해 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