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대책위원회는 23일 시ㆍ도당에서 입당 승인을 받지 못한 18명에 대해 재입당 승인안을 논의한 결과, 3명에 대해 입당 불허 결정을 내렸다.
박명재 전 행정자치부 장관(경북 포항남구ㆍ울릉군)은 노무현 정부에서 장관을 지내면서 “정치적 편향된 업무를 수행했다”는 이유로 입당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약 20년간 당 사무처에서 당료로 일한 강석진 전 거창군수(경남 산청ㆍ함양ㆍ거창)는 2006년 군수직에서 사퇴했다가 2010년 거창군수 선거에 무소속으로 재도전함으로써 해당 행위를 했다는 점이 문제시됐다.
한승민(서울 동대문갑)씨는 18대 총선 공천에서 탈락한 뒤 한나라당 후보를 흑색선전했다는 게 불허 배경이 됐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이러한 `잣대‘가 다른 신청자들에게도 공정하게 적용됐는지를 의문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논란의 소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규택 전 미래연합 대표최고위원, 정인봉 전 미래연합 최고위원 등 친박(친박근혜)계 인사들에 대해선 복당을 허용했기 때문이다.
이 전 대표최고위원은 경기 여주ㆍ이천에서 14∼17대까지 4선을 했으나 18대 공천에서 낙천한 뒤 한나라당을 탈당하고 친박연대 공동대표를 맡았다.
2007년 대선 경선시 '박근혜 캠프' 법률특보였던 정 전 최고위원은 당시 경선 경쟁자였던 이명박 후보를 겨냥한 '이명박 도덕성 기자회견'으로 검증논란을 촉발하면서 당 윤리위원회의 징계를 받았고, 18대 총선에서 자유선진당 후보로 출마했다.
앞서 친박계 홍문종 전 경기도당 위원장도 탈당 전력에도 불구하고 복당을 승인받은 바 있다.
당 일각에서는 비슷한 탈당 전력임에도 친박계 인사들만 `구제’받았다는 점에서 유력 대권주자인 박근혜 비대위원장을 고려한 결정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관련 주광덕 비대위원도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강하게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새누리당은 공천 심사에서 가산점 13개, 감점 10개 등 총 23개 항목으로 후보자를 평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병역비리(직계비속 포함)가 있거나 제명ㆍ탈당 권유처분을 받은 후보에 대해서는 각각 7점을 감점한다. 그밖에 ▲세금 포탈 및 탈루 ▲사회적 물의로 당의 명예를 실추 ▲외국 국적 남자자녀의 병역의무 불이행 ▲경선불복 후 무소속 출마 등에도 5점씩 감점한다.
가점으로는 최근 24개월내 TV토론에 나와 당의 입장을 전파했거나 당원연수 강의 등에 참여한 후보자에게 각각 5점을 부여하기로 했다. 아울러 ▲여성 ▲장애인 ▲과학기술인 ▲국가유공자 및 보훈 대상자 ▲10년 이상 근무 사무처 당직자 ▲1개 기관 3년 이상 기부자 등에도 3점씩 가산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