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의자는 1월 베이징(北京) 중자(中嘉) 국제경매회사가 주관한 골동품 경매에서 한나라 시대 물품으로 소개돼 시초가 1억 8000만 위안(한화 약 319억 원)으로 경매를 시작해 호가 경쟁 끝에 2억 2000만 위안이라는 거액에 낙찰됐다.
하지만 경매소식이 언론을 통해 알려진 후 중국 고고학자들은 “한나라 시대에는 바닥에 앉는 좌식 문화여서 의자가 등장하지 않아 옥으로 만든 의자는 존재할 수 없다”며 잇달아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관계당국의 조사결과 이 의자는 장쑤(江蘇)성 피저우의 한 옥기 공예가가 2010년 옥으로 제작한 의자인 것으로 확인됐다.
의자 제작자로 밝혀진 자오(趙)씨는 “당시 22명의 인부가 7개월에 걸쳐 옥으로 화장대와 의자 세트를 제작했다”며 “명나라 시대 물품을 본떠 만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제작한 그 해에 허베이(河北)성 스자좡(石家庄) 사람에게 260만 위안(한화 약 4억 6000만원)에 팔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소동에 대해 전문가들은 “의자를 구매한 소유주가 경매를 통해 ‘공증’을 받은 후 거액에 되팔기 위해 한나라 의자로 둔갑시켜 버린 자작극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