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29일부터 전국의 모든 민간 어린이집이 정상 운영된다고 28일 밝혔다.
손건익 복지부 차관은 이날 오전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민간어린이집분과위원회 박천영 위원장과 서울 계동 복지부 청사에서 면담을 갖고 휴원 상황을 마무리하기로 협의했다고 복지부는 전했다.
이에 따라 27일부터 3월2일까지 예정됐던 어린이집 집단 휴원 사태는 일단락됐다.
복지부는 민간분과위와 어린이집총연합회, 지방자치단체,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꾸려 현행 보육사업 지침의 불요불급한 기준을 정비하는 방안을 상반기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협의체는 3월 중순 활동에 들어가며 6월 말 정비안을 마련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용 복지부 보육정책과장은 “집단 휴원 사태의 배경 여하를 떠나 영유아를 키우는 부모, 특히 맞벌이 부모들에게 심려를 끼친 점을 깊이 사과한다”며 “부모들이 원하는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어린이집 휴원을 주도해 민간분과위 측은 사과와 함께 이번 철회는 일시적인 결정이라고 밝혔다.
박천영 분과위 위원장은 “복지부가 우리의 요구 조건을 수용해 더이상 휴원은 하지 않기로 했다”며 “학부모들에게 죄송하다”고 말했다.
다만 “6월 말까지 정부의 대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다시 휴원에 들어갈 수 있다”며 이번 사태가 재현될 수 있음을 내비췄다.
분과위는 △보육료 현실화 △보육교사 처우 개선 △특별활동비에 대한 과도한 규제 철폐 등을 요구하며 27일부터 집단 휴원에 돌입했다.
특히 29일에는 당직교사도 없는 전면 휴원을 단행할 것이라고 밝혀 학부모들의 혼란이 예상됐다.
분과위에 속한 민간 어린이집은 전국 1만5000여곳으로, 75만명의 어린이가 교육을 받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