쎌바이오텍이 운영하는 쇼핑몰 듀오락몰은 지난달 17일부터 23일까지 ‘한국인의 장 건강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 546명 중 78%가 ‘방귀 냄새가 심하거나 횟수가 잦으면 장 건강이 좋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방귀를 유발하는 음식을 묻는 질문에는 육류 32.8%, 고구마 27.0%, 유제품 14.1%, 탄산음료 8.7% 등의 순이었다.
82.8%의 응답자는 방귀와 동시에 설사, 변비, 복통 등 다른 증상이 동반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장에 도움이 되는 음식으로는 유산균 식품이 39.8%로 가장 많이 꼽혔다.
해조류 16.5%, 매실 15.5%, 고구마 14.7%이 그 뒤를 이었다.
실제 달걀이나 육류 등 단백질이 많은 음식은 대장에서 발효될 때 냄새가 심한 가스를 만들어 방귀 냄새가 심해진다.
방귀 냄새를 좌우하는 것은 건강 문제가 아니라 음식인 셈.
방귀 횟수도 음식에 따라 달라진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잦은 방귀 유발자로 지목된 육류는 오히려 방귀의 횟수를 줄여준다.
오히려 콩과 채소가 많은 식이섬유로 인해 체내 흡수가 잘 되지 않아 잦은 방귀를 유발한다.
이철재 쎌바이오텍 마케팅실 과장은 “방귀 냄새와 횟수는 섭취한 음식이 문제지만 다른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장 건강의 적신호일 확률이 높다”고 주의를 당부하고 “평소 장 건강 관리 습관이 중요한데 유산균 섭취로 장내 유산균이 활성화 되면 대장균 활동이 억제되고 대장균들에 의해 생성되는 가스도 점차 줄어들게 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