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현철 기자) 행정부 일반직 5급 이상 여성 공무원이 10년 만에 5배 이상 늘어나 국가정책을 입안하고 추진하는 과정에서 여성의 역할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5급 이상 여성 공무원은 2000년 420명에서 2010년 2143명으로 늘어났으며 5급은 315명에서 1700명으로 5.4배, 4급은 88명에서 392명으로, 3급 이상은 17명에서 51명으로 각각 증가했다.
이 기간 행정부 일반직 전체 여성 공무원은 1만2878명에서 3만324명으로 2.4배 늘었고 특히 관리직에서 증가가 두드러졌다.
5급 이상 여성 공무원이 이같이 늘어난 배경은 공무원 시험 여성 합격자 비율 상승으로 분석된다.
2000년부터 2010년 사이에 행정고시 행정·공안직 합격자의 여성 비율이 22.5%에서 47.7%로 상승했고 여성 합격자가 적었던 기술직도 6.4%에서 22.1%로 급증했다. 7급은 16.6%에서 34.2%로, 9급에서는 37.0%에서 41.5%로 여성 합격자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외무고시의 경우 20%에서 60%로 올라갔다.
이에 직렬에 따라 여성이 합격자의 과반수를 차지하기도 하면서, 1996년 도입된 여성채용목표제가 양성평등채용제로 바뀌었으며 일부 직렬은 오히려 남성이 혜택을 보고 있다.
정부는 여성의 공직진출이 늘어남에 따라 출산과 육아를 지원코자 정부청사 어린이집을 2곳에서 10곳으로 확대했고 육아휴직 대상을 1세 미만에서 만 8세 이하로 확대했다.
박재민 행안부 성과후생관은 “정부는 공직에 들어온 여성들이 일과 가정을 병행하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가정친화적인 근무환경을 만들어 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