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수 삼성전자 부품사업(DS)부문 메모리사업부 사장은 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정기총회 참석 후 기자와 만나 일본 엘피다의 파산으로 인한 영향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전동수 사장은 또한 "낸드플래시만 하는 도시바는 모바일 D램이 필요하고, 모바일 D램만 하는 엘피다는 낸드플래시가 필요한 한계를 갖고 있다"며 "마이크론과 도시바가 모바일 D램을 가진 엘피다에 욕심을 낼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산업적 논리와 달리 각 정부와 채권단 논리는 다를 수 있다"면서 "어쨌든 마이크론이나 도시바가 엘피다를 인수하면 강한 경쟁사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전 사장은 세계 반도체시장이 종합 메모리기업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는 의견도 내놓았다.
그는 "세계 반도체시장이 PC 중심에서 모바일 중심으로 바뀌면서 게임의 룰이 바뀌고 있다"며 "과거 PC중심 시장에서는 PC기업들이 나눠 먹기를 하는 식이었지만, 스마트폰시대에는 승자 독식시대가 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모바일시대에는 D램과 낸드플래시를 모두 하는 종합 메모리기업이 유리하다"며 "메모리 콤비네이션으로 대응해야 하기 때문에 삼성은 장점이 많다"고 덧붙였다.
올해 시황에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나타냈다.
전 사장은 "올해 시황이 예측 불허"라며 "과거 강한 자가 살아남는 시대였지만, 이젠 환경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는 자가 살아남는 시대가 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6개월 뒤 시황이 어떻게 될지 모른다"며 "통상적인 'M'자 커브를 감안할 때 올 2분기 이후 비수기에 접어들어 긴장해야 한다"고 전망했다.
삼성전자와 애플 간 소송 여파에 대해 "우리가 아니면 안되게 만들면 된다"며 자신감을 숨기지 않았다.
삼성전자가 독보적인 성능의 반도체를 만들어 팔면 애플도 어쩔 수 없이 살 수밖에 없다는 게 얘기다.
전 사장은 중국 반도체 공장 건설에 대해 "중장기적인 차원에서 중국 투자를 추진하기 때문에 서두를 필요는 없다"면서 "아직 부지 선정도 안된 상태로, 중국 정부와 협의 중"이라고 들려줬다.
전 사장은 올해 투자를 시황변화에 따라 융통성 있게 진행한다는 전략을 제시했다.
그는 "투자는 전체 골격만 정하고 시기마다 시의적절하게 대응할 생각"이라며 "불확실성이 짙은 모바일 중심 시장은 예측이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