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OECD가 펴낸 ‘2050 환경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가용 수자원 대비 물 수요의 비율이 40%를 넘어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컸다.
비율이 40%를 초과하면 ‘심각한(severe) 물 스트레스’ 국가로 분류했는데 여기에 속한 국가는 OECD국가 중 우리나라가 유일했다.
벨기에와 스페인이 30% 안팎으로 우리나라의 뒤를 이었고, 일본, 미국, 폴란드, 멕시코, 터키, 독일 등은 10∼20%로 물 스트레스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위스와 헝가리, 덴마크, 칠레, 호주, 슬로베니아 등은 이 비율이 10% 미만으로 ‘물 스트레스가 없는’ 국가로 분류됐다.
보고서는 또 세계적으로 제조업과 전력·가계 수요의 증가로 2050년 전세계의 물 수요가 2000년에 비해 55%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와 같이 ‘심각한’ 물 스트레스 지역의 인구가 2000년 16억명에서 2050년에는 39억명으로 급증할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정부의 문서를 인용해 4대강 사업에 대해 “수자원 관리와 녹색성장에 관한 종합적인 접근의 좋은 사례”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