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쇼핑 사외이사, 확실한 거수기만 선임?

(아주경제 홍성환 기자) 롯데쇼핑이 올해도 확실한 바람막이 사외이사를 선임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번에 선임된 사외이사 면면을 들여다보면 전직 롯데그룹 임원, 롯데그룹 자문 변호사 등이 대부분인 것으로 드러났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사외이사의 가장 큰 문제점인 '거수기' 역할을 벗어나기 힘들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롯데쇼핑은 지난 23일 제42기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민상기 서울대 교수, 김원희 전 호남석유화학 이사, 김태현 법무법인 율촌 변호사 등 3명을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했다.

하지만 이번에 선임된 롯데쇼핑의 사외이사들은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CGCG)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부적격한 인사들이 포함돼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연구소는 사내·사외이사 선임 가이드라인으로 △이사회 출석률 △해당 회사 출신 여부 △지배주주 또는 대표이사와의 관계 등을 제시했다.

실제로 이번에 새로 선임된 김원희 사외이사는 지난 2008년까지 계열사 호남석유화학 임원을 맡았다. 2010년까지는 다른 계열사인 대산엠엠에이의 감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김 사외이사가 제대로 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오랫동안 롯데그룹에 근무하면서 월급을 받은 전력이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사외이사인 김태현 변호사는 그가 소속된 법무법인이 지적 대상이다. 김 변호가 소속된 율촌은 그동안 여러 차례 롯데그룹의 법률 자문을 제공했다. 작년 롯데그룹이 발행했던 1조원 규모 전환사채와 관련해 법률 자문한 것 외에도 지난 2010년 GS백화점·GS마트 인수 등 같은 해 롯데그룹이 진행했던 국내외의 인수합병 과정에 5번이나 참여했다.

민상기 사외이사는 현재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위원장을 맡고 있다. 이전에는 우리은행 사외이사를 역임했고 이 은행의 민영화 작업에도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2001년부터 2004년까지 3년 동안 기획재정부 금융발전심의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한 바 있다. 최근에는 하나금융 회장 하마평에도 오르기도 했다.

이와 관련, 이지수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 변호사는 "그룹 총수를 모시던 사람이 계열사를 옮겨 사외이사를 맡게 되면 그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다"며 "회사 차원에서 계열사 임원 출신을 사외이사로 선임하는 것을 자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열린 주총에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롯데쇼핑 사내이사로 재선임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