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3호’18일 日서 발사

아리랑 3호 형상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 3호’가 오는 18일 발사된다.

기획재정부는 아리랑 3호 발사를 위한 준비를 정상적으로 완료해 18일 새벽 1시39분쯤 일본 다네가시마 발사장에서 발사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아리랑 3호는 향후 4년간 685km 상공에서 해상도 70cm급의 고해상도 전자광학 카메라를 사용해 정밀 지상관측 임무를 수행할 국내 최초의 서브미터급 지구관측위성이다.

서브미터급은 해상도 1m 이하의 위성을 말하며, 현재 미국, 유럽 등을 중심으로 세계 상용위성영상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위성이다.

아리랑 3호는 지난 3월 16일, 발사준비를 위해 일본 다네가시마 발사장한 이후 동승위성인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GCOM-W1위성’ 등과 함께 기능점검, 연료주입, 발사체와의 접속시험 및 페어링 내 탑재를 완료했다.

아리랑 3호가 정상적으로 발사돼 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되면, 약 3개월간 궤도상에서 위성체 및 탑재체의 기능시험 등 시험운영을 거쳐 오는 9월부터 본격적인 위성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아리랑 3호는 기존 위성들보다 기동성능이 향상돼 능동적으로 원하는 지역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정부는 현재 운영 중인 ‘아리랑 2호’ 및 올해 하반기 중 발사 예정인 레이더위성‘아리랑 5호’와 함께 사용하면 영상정보의 확보와 활용 면에서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아리랑 3호 개발사업은 재정부, 지경부, 교과부 등 범부처 협력을 통해 지난 2004년 8월부터 총 2826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주관 아래 대한항공, 한국항공우주산업, 두원중공업, 한화, AP우주항공, 세트렉아이 등이 참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