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자본시장연구원은 금융의원회와 한국거래소 후원으로 코넥스 설립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공청회에는 정계·학계·언론·업계 관계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코넥스 시장 활성화를 위한 패널 토론을 열었다.
이날 공청회에선 코넥스 시장 활성화를 위해 지정자문인을 위한 수익 모델을 견고하게 설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황준호 KTB투자증권 경영관리본부장은 “코넥스 시장에서 연간 30개 기업이 상장되고 약 2~3% 수수료를 받는다고 가정하면 수수료 수익은 약 60억~70억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며 “이 시장이 활성화 된 영국과 다르게 우리나라는 M&A시장 역시 활성화 되지 못해 증권사가 지정자문인 역할을 해도 수수료로 가져갈 수 있는 몫이 적다”고 말했다.
황 본부장은 이어 “코넥스의 법률적 리스크를 차치하고서라도 지정자문인제도를 어떻게 끌고갈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남아있다”며 “코넥스 시장 설계시 비즈니스 모델 설계 부분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시장 유동성 확충을 위해선 적격투자자 범위를 넓혀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권종호 건국대학교 교수는 “적격투자자 범위와 관련해 이 범위가 좁게 들어갈 경우 코넥스시장의 유동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어 투자자 범위를 넓혀가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박창교 벤처기업협회 부회장 역시 “코넥스 시장의 투자자 유치를 위해선 일부 기관투자자에 대한 투자의무 강화나 인센티브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며 “더불어 소액 투자자를 위한 공모형 펀드 등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코넥스 시장과 코스닥 시장 간 시장 연계성 강화에 대한 주장도 등장했다.
최홍식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본부장은 “코넥스 시장에 들어온 기업의 경우 2~3년동안 공시 의무를 다하고 시장 감시를 받아 투자자들의 믿음이 심어진 기업에 대해선 코스닥 시장 심사 단계로 넘어올 때 편의를 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생각 중”이라며 “코넥스 시장에 남아있으려 하는 기업은 이 시장에 들어오면 안되고 성장성을 기반으로 코스닥과 유가 시장으로 넘어갈 수 있는 기업들을 유치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진웅섭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국장은 “코넥스 시장 초기 단계 유동성 확충을 위해 전문투자자 범위를 확대해야 했다”며 “초기 정책 금융공사 등에서 적극적 투자 유치를 조성하고, 정책금융공사와 중소기업진흥원 등 협력 투자 활성화 등을 통해 협업을 체계화하기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