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샤오칭(吳曉靑) 환경 부부장(차관) 이날 “대기오염 측량 및 발표는 사회 공익과 관련되고 정부의 공권력에 해당한다“면서 각국의 주중 영사관이 자체적으로 대기오염을 검측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인터넷에서 대기오염 수치를 발표하는 것은 비엔나 외교관계 협약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주중 공관들이 중국의 관련 법규를 존중해 이같은 정보를 발표하지 말아달라고 촉구했다.
또 우 부부장은 올해 연초 세계보건기구(WHO)의 대기오염 지수 기준을 참고해 중국의 기준을 정했다면서 중국의 현재 발전 수준과 국제적 기준을 조합해 만든 중국의 실제 상황에 맞는 기준이라고 말했다.
중국 환경부의 이같은 지적은 주중 미국대사관을 겨냥한 것으로 분석된다. 주중 미국대사관은 지난해부터 중국에 거주하는 자국민을 위해 자체 측정한 대기오염 수치를 트위터를 통해 발표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미국대사관이 베이징 대기오염 정도를 미국 기준 6개 등급 가운데 최악인 ‘위험(hazardous)’ 등급이라고 밝혀 중국 당국과 논란을 빚기도 했다.
베이징 시는 상당수 국가가 채택하고 있는 PM2.5(미세먼지 직경 10㎛)보다 기준이 낮은 PM10(직경 10㎛)기준을 쓰고 있다. 때문에 시민들은 시 당국보다 미국 대사관의 수치를 신뢰하고 있다. 논란이 커지자 베이징 등 일부 대도시는 기준을 PM2.5로 높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