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의 그림자’로 평가받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상임고문은 지난해부터 책과 방송 등을 통해 노 전 대통령과의 인연이 소개하며 친노를 자임했으나, 최근 들어선 노 전 대통령과 관련된 발언을 줄이는 등 선을 긋는 모습이다.
지난달 노 전 대통령 서거 3주기 때는 노무현재단 이사장직에서 물러나며 “정치인 문재인은 정치인 노무현을 넘어서겠다”고 말하는가하면, 중도층의 높은 지지를 받고 있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에 러브콜을 날리고 있다.
이는 그가 친노를 활용해 대선 지지율을 20%대까지 올리는 데 성공했으나, 친노 대 비노 프레임으로 치러진 4·11총선에서 새누리당에 패한 뒤 지지율이 9%까지 추락하는 등 외연확대에 한계를 느끼고 있어서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중도층에서 문재인 상임고문을 좋게 봤던 사람이 많은데 (총선 이후) 다 떨어져 나갔다”며 “문 상임고문은 한미 FTA나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 등 현안에 대해 합리적인 입장을 보여야 하며, 친노색을 지우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하지만 친노계의 경우 선명성 경쟁에서 경직된 모습을 많이 보여왔기 때문에 문 상임고문의 중도색 덧대기가 가능할 지는 미지수다.
민주통합당의 유력한 대선 주자로 급부상 중인 ‘리틀 노무현’ 김두관 경남도지사는 친노와 자신을 명확히 구분짓고 있다.
“한국의 룰라가 되겠다”며 온건 합리주의자의 면모를 알리고 있는 김 지사는 “내가 행정가의 길을 걷다가 정치에 입문했다면 노 대통령은 처음부터 끝까지 정치인으로 살았다”며 노 전 대통령과의 차별화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또 자신을 ‘비주류의 비주류’로 자평하며 ‘비욘드 노무현’을 선언한 점은 노무현 프레임에 갇히지 않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범 친노계로 분류되는 정세균 상임고문의 경우는 공개적으로 ‘노무현을 잊자’고 주장하고 나섰다.
정 의원은 지난달 29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정치개혁모임 주최 대선주자 토론회’에서 “이제 노무현은 잊자는 제안을 하고 싶다. 탈상도 했으니 친노·비노를 버려야 한다”며 "무의미하고 민주당의 힘을 약화시키는 프레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